티스토리 뷰
목차
정부에서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해 지원하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알고 계셨나요? 정규직 신규 채용만으로 월 60만 원씩 최대 720만 원의 혜택이 따라옵니다.
고용 불안정한 청년에게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중소기업에는 인건비 지원을! 지금 알아두면 실제로 도움 되는 생생한 정보만 정리해드릴게요. 혜택은 크지만 조건도 까다로운 이 제도, 어떻게 활용하면 최대치로 받을 수 있을까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중소기업이 '취업 애로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일정 기간 고용을 유지하면, 정부가 기업에 인건비 일부를 보전해주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 요건은?
기업 요건: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 고용보험 가입, 최저임금 준수, 고용 조정 이력 없음 등
청년 요건: 만 15~34세(군필 최대 39세), 고용보험 6개월 미만, 연속 실업 4개월 이상 또는 관련 프로그램 이수자 등
지원 금액 및 지급 방식
기업당 청년 1인 기준 월 60만 원, 최대 12개월까지 지원됩니다. 총액은 최대 720만 원이며, 6개월 단위로 분할 지급됩니다. 청년에게 직접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기업에 인건비 보전 형태로 지급됩니다.
신청 절차 요약
① 고용24 홈페이지 기업 회원 가입 및 로그인
②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메뉴에서 사업 참여 신청
③ 자격 심사 후 승인 → 청년 채용 및 고용보험 가입
④ 고용 6개월 유지 후 지원금 신청
⑤ 서류 심사 후 인건비 지급
지원 대상 표 정리
구분 | 지원 조건 |
---|---|
기업 | 중소/중견기업, 고용보험 가입, 고용 안정성 유지 |
청년 | 만 15~34세, 실업 4개월 이상 또는 취업지원제도 이수 |
고용 형태 | 정규직 신규 채용 필수 (계약직/인턴 제외) |
지급 형태 | 기업에 인건비 지원 (청년 직접 수령 불가) |
성공적으로 받기 위한 팁
기업은? 채용 전 ‘취업 애로 청년’ 요건 사전 확인, 채용 계획서 철저 작성, 근로계약서 및 급여 내역 서류 꼼꼼히 관리
청년은? 고용센터 프로그램 이수, 자격 충족 확인, 기업 선택 시 근무조건 확인
Q&A
Q1. 청년에게 돈이 직접 지급되나요?
A. 아니요, 장려금은 기업에 지급됩니다. 청년은 정규 월급 형태로 급여를 받습니다.
Q2. 계약직으로 채용해도 되나요?
A. 불가합니다. 반드시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해야 합니다.
Q3. 청년내일채움공제와 중복 지원 가능한가요?
A. 중복 참여는 불가합니다. 하나의 정부 지원제도만 선택 가능해요.
Q4. 기업이 나중에 장려금을 신청해도 되나요?
A. 아닙니다. 반드시 ‘사업 참여 신청’ 후 승인 받고 청년을 채용해야 합니다.
Q5. 나도 신청 가능한지 어디서 확인하나요?
A. 고용24 홈페이지 또는 가까운 고용센터에서 상담 가능합니다.
마무리
정부의 장려금을 제대로 활용하면 청년도, 기업도 윈윈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용24를 통해 신청부터 서류 제출까지 디지털로 가능해 더욱 편리하죠. 지금 자신의 조건을 확인해보고 빠르게 준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격 확인은 필수! 늦기 전에 미리 체크하세요.